본문 바로가기

Book

(1170)
<팡세>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블레즈파스칼 (Blaise Pascal, 1623~1662) #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의 #클레르몽페랑 에서 지방관리의 아들로 태어났다.​1646년 첫 번째 회심을 경험, 아버지의 죽음 이후 천재적인 활약으로 높아진 명성에 기대 귀족 사교생활에 빠졌다.​1654년 두 번째 회심이후 그의 천재성을 신과 인간에 대한 탐구에 쏟아부었다. 그의 사후 초판본이 1670년 출간되었다.​1부 파스칼이 분류한 원고인간은 갈대에 지나지 않는다.온 자연을 통틀어 가장 연약한 존재다.하지만 생각하는 갈대다.​인간의 위대함은 자신의 비참함을 아는 데서 시작한다.비참하다는 사실을 아는 것은 비참하지만,비참참하다는 점을 안다는 데 위대함이 있다.​사소한 것들이 위안을 준다.하찮은 것들이 마음을 상하게 ..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조너선 하이트 조너선 하이트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 사회심리학자로서, 긍정심리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자 정치심리학과 도덕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연구자 중 한명이다. 현재 뉴욕대학교 스턴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도덕성의 기원을 탐구한 과 (공저)를 쓴 베스트셀러 작가의 2005년 저작​#서문 - #지혜는모든곳에있다그 대답은 삶에는 목적이 있다는 고대의 생각들을 빌려 오기는 하겠지만, 아주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그 같은 고대의 생각들, 혹은 여러분이 한 번쯤은 마주쳤을 법한 그 모든 생각들을 한 차원 뛰어넘어 보고자 한다. 마음만 먹으면 나는 이쯤에서 행복 가설의 최종 형태를 몇 마디로 간단히 정리해 볼 수도 있었겠지만, 이 짤막한 서론에서 그런 시도를 했다간 괜..
<관용> 웬디 브라운 웬디 브라운 웬디 브라운#웬디브라운 (Wendy Brown) #프린스턴 대학 #정치철학 박사,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캠퍼스 정치학과 교수​#맑스 와 #니체 , #푸코 등을 이론적 자원 삼아, 후기 자유주의의 정치적 조건들과 #정체성정치 의 한계를 분석한 저작으로 주목 받았다.​부제 "다문화제국의 새로운 통치전략" 2010년 출간한 정치철학 도서​​1장 #관용 : #탈정치화담론이 책이 붙잡고 씨름하고자 하는 질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현대 미국에서 통용되는 관용 담론은 어떤 종류의 정치적 담론이며, 어떠한 사회적·정치적 효과를 낳고 있는가? 관용 담론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오늘날 서구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식민주의·제국주의의 긴밀한 결합 관계를 이해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가? 이어지는 장들..
<깊이에의 강요>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소묘를 뛰어나게 잘 그리는 슈튜트가르트 출신의 젊은 여인이 초대 전시회에서 어느 평론가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 그는 악의적인 의도는 없었고, 그녀를 북돋아 줄 생각이었다. "당신 작품은 재능이 있고 마음에 와 닿습니다. 그러나 당신에게는 아직 깊이가 부족합니다." 평론가의 말을 이해할 수 없었던 젊은 여인은 그의 논평을 곧 잊어버렸다. 그러나 이틀 후 그 평론가의 비평이 신문에 실렸다. 11p-1그, 장, 동네의 체스 고수는 대단한 도덕적 깨달음을 얻은 사람처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체스판을 팔에 끼고 말이 들어 있는 작은 상자를 손에 들고 집을 향해 터벅터벅 걷고 있는 지금, 그는 자신이 오늘 실제로는 패배했다는 것만큼은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그것은 복수할 기회도..
<조현병, 낯선 자아와 떠나는 여행> 앤 데버슨 앤 데버슨 앤 데버슨#개정판 에 대하여조너선의 이야기는 시간을 초월한다. 우리는 이천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 과거에도 정신질환과 맞서는 사람들이 존재했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음을 안다. 또한 그들이 가족이 고통받았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수백년 동안 우리는 여기에 수많은 진술과 진단을 덧붙이거나 좀 더 일상적인 말을 덧붙이기도 했으나, 어떤 말을 사용하든 우리가 정신질환에서 자유로웠던 시대는 없었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않는다. 정신질환은 인간 상태의 일부이다. 지금은 많은 부분에 진전이 있어서 연구를 통해 미궁의 조각들을 천천히 맞춰가고 있다. 질병 관리는 개선되는 중이고 부정적인 인식은 줄고 있다. 그러나 정신질환자들의 삶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이러한 모든 변화는 아무 의미가 없다.10p-61장 #시작​2장 ..
<좀머 씨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쥐스킨트 (1949~ ) #뮌헨 에서 태어나 #암바흐 에서 성장 역사학을 공부했다.​한 예술가의 고뇌를 그린 남성 모노드라마 #콘트라바스 가 대중에게 알려지며 이후 #향수 , #비둘기 , #깊이에의강요​등을 발표하며 전세계 독자들을 사로잡은 작가의 1991년 작품오래전, 수년, 수십 년 전의 아주 오랜 옛날, 아직 나무 타기를 좋아하던 시절에 내 키는 겨우 1미터를 빠듯하게 넘겼고, 내 신발은 28호였으며, 나는 훨훨 날아다닐 수 있을 만큼 몸이 가벼웠다. 정말 거짓말이 아니었다. 나는 그 무렵 정말로 날 수 있었다. 적어도 거의 그렇게까지 할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아니 좀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그 당시 내가 진짜로 그런 각오를 하고 제대로 실행에만 옮겼..
<듄의 메시아> 프랭크 허버트 프랭크 허버트 프랭크 허버트#프랭크허버트 (Frank Herbert) 1920년 #워싱턴 주의 #타코마 에서 태어났다.​1952년 에 기고하면서 #SF작가 로 입문했다. 1963년 6년간의 자료 수집 끝에 발표​1965년 #듄연대기 의 첫 작품 을 내놓으면서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멘타트 황제인 폴 무앗딥과 그의 여동생 알리아는 너무나 많은 신화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 신화의 베일 뒤에 있는 진정한 인간을 보기가 어렵다. 그러나 폴 아트레이데스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남자와 알리아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여자는 분명히 존재했다. 그들의 육체는 공간과 시간에 종속되어 있었으며, 예지력 덕분에 그들이 시간과 공간의 일반적인 한계를 초월했다 하더라도 그들 역시 인간에 속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들도 현실 속의 우주..
<콘트라바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쥐스킨트, "기이한 은둔자이자 #언어의연급술사 " 1949년 #뮌헨 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역사학을 공부했다. ​ #모노드라마 가 "희곡이자 문학 작품으로 우리 시대 최고의 작품"이라는 극찬을 반드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 와 로 유래없는 성공을 거둔 작가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는 사실 없는 말이다. 독일어권에서는 이 악기를 콘트라바스, 영어권에서는 더블 베이스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엔 독일에서 공부한 사람이 많다 보니 콘트라바스라는 말이 자주 사용되었다. 그런데 bass가 독일어로 로 발음되지만 영어로는 로 발음되는 점에서 혼동이 일어나 라는 정체불명의 단어사 탄생했다. 이 책에서는 악기의 원래 이름을 찾아 주기로 했다. 참고 콘트라바스는 라는 뜻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