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마르셀 프루스트

오랜 시간, 나는 일찍 잠자리에 들어 왔다.

때로 촛불이 꺼지자마자 눈이 너무 빨리 감겨 '잠이 드는구나.'라고 생각할 틈조차 없었다.

그러다 삼십여 분이 지나면 잠을 청해야 할 시간이라는 생각에 잠이 깨곤 했다.

그러면 나는 여전히 손에 들고 있다고 생각한 책을 내려놓으려고 하고 촛불을 끄려고 했다.

나는 잠을 자면서도 방금 읽은 책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했는데, 그 생각은 약간 특이한 형태로 나타났다.

마치 나 자신이 책에 나오는 성당, 사중주곡, 프랑수와 1세와 카를 5세와 경쟁 관계라도 되는 것 같았다.

15p-1

스완이 누리는 그 화려한 사교 생활을 몰랐던 까닭은, 물론 어는 정도는 그의 신중하고도 조심성 있는 성격 탓이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당시 부르주아 계층의 사회에 대한 다소 힌두교적인 사고 방식 때문이기도 했다.

즉 사회란 폐쇄적인 카스트로 구성되어 있어, 각자는 태어나자마자 자기 부모의 계급을 이어받으며,

예이적인 경력이나 뜻하지 않은 결혼이라는 요행이 아니면 그 계급에서 벗어나

상위 계급으로 진입하게 해 줄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다.

37p-10

이처럼 오랫동안 한밤중에 깨어나 콩브레를 회상할 때면, 마치 벵골의 섬광 신호등이나 조명등이 건물 한 모퉁이를 선택해서 비추면 다른 부분은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잠기는 것처럼, 콩브레는 언제나 분간할 수 없는 어둠 속에

잘린 빛나는 한 조각 벽면으로만 떠올랐다.

83p-16

소설가가 쓴 책은 꿈과 같은 방식으로, 그러나 우리가 자면서 꾸는 꿈보다 더 선명하고 더 오래 기억되는 꿈으로

우리를 뒤흔들 것이다. 소설가는 한 시간 동안 모든 가능한 행복과 불행을 우리 마음속에 폭발시키는데,

실제 삶에서 라면 그중 몇 개를 아는 데도 몇 년이 걸리며, 또 그중에서도 가장 격렬한 것들은 너무도 느리게

진행되어 우리 지각을 방해하기 때문에 결코 우리에게 드러나지 않을 것도 있다.

155p-5

콩브레 주변에서 산책을 하려면 '길'이 두 개 있었는데, 이 두 '길'은 아주 반대 방향에 있어서 우리가 집을 나갈

때면 결코 같은 문으로 나가지 않았다. 하나는 메제글리즈라비뇌즈였는데, 그 길로 가려면 스완 씨네 소유지를

지나가야 했기 때문에 스완네 집 쪽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리고 다른 길은 게르망트 쪽이었다.

237p-9

그러다 비외비크 종탑이 멀어지면서 다시 거리를 두자 마르탱빌의 종탑들만이 석양빛을 받으며 홀로 남았는데,

그 종탑의 경사 위로 석양이 노닐며 미소짓는 모습이 멀리서도 보였다. 종탑에 가까워지는 데도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종탑에 도착하려면 또 얼마나 걸릴까 하고 생각하는데, 갑자기 마치가 모퉁이를 돌더니 우리를 바로

종탑 아래 내려놓았다. 종탑이 얼마나 거칠게 마차를 향해 내던져졌는지, 거의 성당 정문에 부딪칠 뻔했다.

311p-18

마르셀 프루스트, #1871년 파리 교외 #오퇴유 에서 의과대한 교수인 아버지와 유대인 출신의 부유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905년 어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글을 쓰는 칩거 생활로 들어갔다.그 생활의 결실이 '20세기 최대의 문학적 사건'으로 기록된 책

1권은 '나'라는 화자의 회상으로 콩브레 성당과 마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환상적으로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