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동양화, 시대를 읽다- 1강

동양화, 시대를 읽다- 1강

 

 

 

 

동양화를 감상하는 방법, 그림감상이란?

‘감상’의 한 종류 느낌

‘말’과 ‘숫자’를 써서 보는 방법 지식

 

좋은 감상법 이란? 이성과 감성을 조화롭게

감상의 목적 의미, 사고, 미래생활

흥미와 재미를 위한 것이 아니라 감성과 이성의 질과 폭을 넓히는 일

 

 

 

 

 

 

2. ‘이성’과 ‘감성’으로 그림 감상하기

 

동양화의 닭은 모두 장닭, 이치에 맞지 않지만 전통적으로 그렸던 그림

암탉을 그리지 않은 것은 남존여비사상의 영향?

메추리는 모두 암컷만 그린다. 여권 신장론자?

懸 매달현 鶉 메추라기순 : 메추리를 매달다. 남루한 옷

그림의 의미를 아는 것, 꼭! ‘조’밭에 함께 그렸던 메추리 그림

“명나라 화가 ‘문진명’의 그림을 모방해서 그렸다” 는 그림 설명

 

 

 

 

 

 

3. 이야기를 담은 동양화

 

신선도, 서로 다른 시대, 다른 지역에 살았던 인물들

옛날이야기의 주인공들

감성적 감상 ‘선계에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은 아닐까?’

崇山(숭산) : 신선이 사는 곳

신선도 중 李鐵拐(이철괴) 혼을 지유롭게 이동시키는 신선, 魂魄(혼백) 이원적 정신관

老子와 담소를 나누다 7일이 지나 돌아와 보니 제자들이 장사를 지내 방금 죽은 거지 몸에 들어간 이철괴의 우화, 거지의 모습을 한 이철괴 마음은 이철괴 몸은 거지

인간세태의 얄팍한 심리에대한 이야기

 

 

 

 

 

백로와 연 열매를 그린이유?

 

一鷺蓮顆 독음이 같은 一路連科 “떠나는 이 길로 향시와 전시, 두 번의 시험에 합격”

자주 보지 않고 3년에 한번 시험이 치러짐

二路連科 : 두 번의 걸음에 연속 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