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의 추진체제 및 거버넌스
여의도 대한주택보증 대회의실에서 열린 도시재생관련 세미나
이날 1층 로비에서는 재개발 재건축 관련민원을 제기하러온 서울시 주민들이
연좌농성을 벌이고 있었다.
이런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바꾸어 나갈까를 고민하는 시간
1차 주제 한국형 도시재생 추진체제의 제안 LH공사 도시재생사업단 총괄과제 팀장
현재의 제도의 문제점 결과 중심, 수익성 위주, 그리고 교체만을 위한 도시정비였다면
앞으로의 도시재생은 과정 중심, 조직 위주, 그리고 사람을 위한 도시재생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2차 주제 시민사회 주도형 도시재생 거버넌스(정부와 민간이 형력하는 국정관리)
라는 주제로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가 발표한 자료에는
앞으로 로컬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고민과 제안을한다.
3차 주제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사례 : 국내외 사례는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의
청주와 창원의 주민참여 지원기구의 실제 운영사례를 통해
도시재생사업의 가능성과 현실 을 보여주는 발표였다.
우리의 도시는 어느새 청년을 넘어 장년의 시기에 접어들었다.
정신없이 달리다 보니 사람은 사라지고 콘크리트 아파트의 거대한 성채만 남은 현실
이제 그 도시에 사회, 문화, 환경, 경재적 재생 의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관 주도의 사업추진과 개발업자와 거대건설사만 돈벌어가는
도시개발이 아니라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행복해지는 도시재생을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고민하고 그 방법을 실천하고 실패하기를 반복하고 있다.
우리사는 도시를 우리들의 생각처럼 만들어가는 일
문화도시인의 꿈 이다.
'Urb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후지역의 인구·고용 변화(2000~2010년)와 정책적 시사점 (0) | 2012.08.07 |
---|---|
해외 공동체토지신탁제도의 동향과 시사점 (0) | 2012.07.31 |
Urban Regeneration and Compact city (0) | 2012.06.29 |
주민이 주도하여 만든 소박한 관광도시, 유후인 1 (0) | 2011.03.08 |
도시재생 현재와 미래 (0) | 201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