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儒者)인가 승려인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
우암(尤庵)은 매월당의 모습이 7,8촌(寸) 크기의 작은 화폭 안에 다 들어갔지만 매월당의 유상(遺像)이나마 다시 나타난 것은 세상에 도의(道義)를 바로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암이 인정한 것은 여기까지이다. 우암의 지적대로, 불안정한 천재 매월당이 노년에 이르러 마지막으로 선택한 안식처는 불교였음을 그 자신이 그린 화상이 스스로 증명하고 있다. |
공자(孔子)가 전대의 성현에 대해 서열을 매겨 서술한 것이 많지만 오직 단발하고 문신한 태백(泰伯)을 천하의 삼분의 일을 차지하고서도 은(殷)나라를 섬긴 문왕(文王)과 아울러 지극한 덕이라 일컬었는데 선유(先儒)는 “그 뜻이 은미하다.” 하였다. |
[孔子序列先世聖賢多矣, 而惟以斷髮文身之泰伯, 並稱至德於三分天下以服事殷之文王, 先儒以爲其指微矣. 東俗好古, 其藏古聖賢遺像者亦多矣. 而今延之獨摹梅月公之眞, 將結茅於公所遊春川之山谷而掛置之. 余竊諦審之, 其髭鬚雖在, 而冠服則正緇流所著也. 余嘗按栗谷先生奉敎所撰公傳, 公少爲儒生, 中爲緇流, 晩嘗長髮歸正, 臨終時更爲頭陀像. 蓋三變其形矣, 獨乃留此緇像而自贊焉者, 豈亦有意存乎其間耶! 蓋公出家放迹, 實欲藏晦其身. 然百世之下, 見其氣象精神於片幅之上者, 猶知其爲梅月公矣. 今年夏, 成公三問神主忽出於仁王山斷麓下, 京外士夫奉安於洪州地魯恩洞, 後之君子其有並稱二公如孔聖之言者耶? 其不落莫否耶? 延之旣爲其大王考石室先生刻置淵明醉石․孤松․五柳等名號於陶山, 復繼以此擧, 其所感者深矣. 嗚呼! 雖使公生存, 不過七尺之軀矣, 今乃輸在七八寸矮絹, 而論者謂其顯晦之所關在於世道者何也? 壬子十一月日, 恩津宋時烈跋.] |
![]() ▶ 김시습 초상_충남 유형문화재 제64호_충남 부여군 무량사 소장
|
|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 하나하나가 뇌구조를 쉬지 않고 바꾼다. (0) | 2011.08.10 |
---|---|
역경 덕분에 위대한 업적을 이룬 사람을 위인이라 부른다. (0) | 2011.08.09 |
서로 다른 것들이 모여 아름다움을 만든다. (0) | 2011.08.08 |
명실상부(名實相符) (0) | 2011.08.04 |
때로는 늦게 출발하는 것이 감사할 일이다. (0) | 2011.08.04 |